세무대리인 통한 부가세 신고 시 절세 꿀팁! (40만원 이상 절세한 비법 공개)

개인 사업자라면 부가세 신고를 6개월마다 반드시 진행해야 합니다. 이때 세무 대리인이 제출한 부가세 신고서를 그대로 받기기 보다는, 공제 항목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절세에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도 2분기 부가세 신고를 마무리하며 40만원 이상 절세한 꿀팁을 공개합니다. 세무 대리인과 함께 효율적인 부가세 신고를 준비해 보세요! 1. 세무대리인에게 전달해야 할 증빙서류 부가세 신고 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지출 증빙입니다. 세무 대리인에게 모든 증빙을 제대로 전달해야만, 세금 공제 혜택을 제대로 누릴 수 있습니다. 세무 대리인에게 전달할 주요 증빙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카드 이용 내역 (홈택스에 등록되지 않은 사업용 카드 내역)  https://smalltalk.gnr-info.com/2025/01/blog-post.html ↑ 카드 내역 다운로드 방법 (카드사 24 종 총정리) 종이 계산서 3만원 미만 간이 영수증 (예시: 착불 택배비) 이 항목들은 홈택스에서 조회가 되지 않아 세무 대리인이 확인이 불가한 항목입니다. 꼼꼼히 모아서 세무 대리인에게 전달하세요. 이렇게 전달된 증빙을 바탕으로 세무 대리인은 부가세 신고를 준비하게 됩니다. 2. 매입 공제 반영 세부 내역 요청하기 세무 대리인이 1차 집계를 끝내면 부가세 납부 세액이 계산됩니다. 대략적으로 납부해야 할 세금이 산출되는데요. 이 시점이 가장 중요한 꿀팁 시점입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매입 공제 입니다. 세무 대리인에게 매입 공제 반영에 대한 세부 내역을 요청하는 것이 절세의 첫걸음입니다. 세부 내역 요청 항목 카드 현금영수증 전자세금계산서 이 세 가지 항목에 대한 세부 내역을 확인해야 합니다. 세무 대리인이 제공한 세부 내역을 통해, 실제로 어떤 지출이 부가세 공제에 반영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누락된 항목이 있다면 바로 수정 요청을 해야 하므로, 이 과정은 꼭 확인해야 합니다. 3. 현금영수증과 인터넷 결제 누락 확인하기 부가세 신고 시 자주 누락되...

공기청정기 상위 7개 제품 성능 실험 및 최종 추천

황사와 미세 먼지가 심해지면서 공기청정기가 필수 가전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한 번 구매하면 5년 이상 사용하므로 좋은 제품을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을 최종 결론까지 읽고 나시면 우리 집에 가장 좋은 제품을 고민 없이 빠르게 선택하실 수 있을 겁니다. 가장 많이 팔린 공기청정기 상위 7개 브랜드에 대해 시작합니다.


실험 대상 및 항목


실험 대상 상위 7개 브랜드는 30평~45평에서 사용 가능한 10 만원 이상 ~ 30 만원 미만 제품으로 LG (퓨리 케어), 삼성 (블루 스카이), 위닉스 (타워X), 샤오미 (미에어), 쿠쿠 (AC-12X30FW), 코웨이 (AP-1019C), SK매직 (ACL-131T0) 공기청정기입니다.
3 가지 항목은 공기 청정 성능, 가격, CO2 배출량 입니다. 참고로 실험에 사용된 먼지 크기(0.3μm)는 일상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작은 입자로 헤파 필터 중에서 세미헤파 E11, E12, E13과 헤파 H13를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공기 청정기 성능

기본적으로 CA인증을 받은 제품이라면 최저 기준선 (탈취 효율, 소음, 표준 사용 면적, 오존 발생 농도, 집진 효율 항목 등)에서 모두 통과한 제품으로 안심하고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 제품이든 기준에 가까스로 도달하는 제품도 있고, 기준보다도 아주 높은 성능을 가진 제품도 있습니다. 

지금부터 4가지 성능 비교를 통해 상위 7개 브랜드 중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과 보통인 것은 어떤 제품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 표준 사용 면적

표준 사용 면적은 공기청정기가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면적을 뜻합니다. 보통 공기청정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거실은 전체 면적의 1/3 정도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30평(100m²)아파트는 표준 사용 면적이 10평(33m²) 대인 제품을 구매하시면 됩니다.

표준 사용 면적을 올바르게 표기했는지 실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30억 ~ 90억 개의 미세 먼지(크기: 0.3 μm)가 가득 찬 약 10평 공간에서 공기청정기를 최대로 20분 간 작동 시킵니다. 이 때 각 제품 회사가 자신의 표준 사용 면적이라고 적어낸 수치의 90% 이상 먼지가 제거되어야 관련 기준에 적합합니다.



실험 결과 제품에 표기한 면적과 실험 결과 값은 모두 기준(90% 이상)에 적합했습니다. 실제 청정 면적이 가장 넓은 제품은 위닉스 제품이고, 가장 좁은 제품은 코웨이 였습니다.

위닉스 95% (실제 사용 면적: 47.2m²), SK매직 100% (43), 삼성은 102% (40.9m²), 샤오미 98% (37.7m²), 쿠쿠 95% (34.6m²), LG 100% (36.2m²), 코웨이 103% (35.1m²) 입니다.


  • 유해 가스 제거 및 탈취 효율

대표적인 유해 가스는 새집 증후군의 유해 가스인 포름알데히드와 톨루엔, 그리고 생활 악취 물질인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드, 초산 총 5 개입니다. 30분 간 공기청정기를 최대로 작동시켜서 공기청정기가 유해 가스를 얼마나 제거할 수 있는 지 실험했습니다. 실험 결과는 삼성, LG, 코웨이, 쿠쿠, SK매직 5개 제품이 평균 84%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더 우수했고 샤오미, 위닉스 제품은 보통 수준이었습니다.


  • 소음
오랜 시간 가동하는 공기청정기의 소음이 시끄럽다면 생활 수준이 많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공기 청정기를 최대 풍량으로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했습니다. 사람이 귀로 느끼는 조용한 주택의 거실은 40 dB, 조용한 사무실은 50dB, 보통 대화 소리는 60dB 수준입니다.
45~ 45dB로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품은 삼성, LG, 위닉스, 코웨이, 쿠쿠 제품이고, 48dB을 초과하는 보통 수준인 제품은 샤오미, SK매직 입니다. 


  • 자동 모드 성능
공기청정기는 자동 모드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전체 사용자 중 63.5%로 가장 많습니다. 자동 모드로 사용할 때 중요한 점은 얼마나 빠르게 오염을 감지하는지, 그리고 그 감지한 오염원을 얼마나 빠르게 정화하는 지가 중요한 점입니다.
그래서 자동 모드로 공기청정기를 작동 시켜 놓고, 대기 오염 농도가 '매우 나쁨' 상태에서 '보통' 수준이 될 때까지 걸리는 총 시간을 측정했습니다. 즉 빨리 감지하고 빨리 정화 할수록 성능이 좋은 것입니다. 측정 결과 평균 18분 이내의 상대적 우수 제품은 삼성, LG, 샤오미, 위닉스, 코웨이, SK매직 이고, 보통 수준은 쿠쿠 입니다.


연간 전기세 및 유지 비용

공기청정기는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전기 요금과 주기적인 필터 교체 비용이 필요한 가전제품입니다. 따라서 제품 가격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 비용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전기 요금은 다음과 같이 실험했습니다. 하루에 7시간 30분 씩 1년 간 가동한다고 가정했습니다.
실험 결과 가장 비싼 전기 요금은 16,000원으로 삼성 제품이고, 가장 저렴한 요금은 쿠쿠 제품으로 8,000원 입니다.
또한 필터 비용은 1년에 1회 교체했다고 가정했습니다. 필터 교체 비용이 가장 비싼 제품은 SK매직 60,000원이고, 가장 저렴한 제품은 샤오미 28,900원입니다.
전기 요금과 필터 교체 비용을 더한 최종 유지 관리 비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평균 비용인 67883원보다 높은 제품은 SK매직이 72000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위닉스 70000원입니다. 평균보다 낮은 제품은 삼성 65000원, 코웨이 63000원, LG 59400원, 샤오미 40900원, 쿠쿠 37000원 순으로 저렴해졌습니다.

환경 친화적 제품 여부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에 따른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제품 구매 시 "환경 친화적 제품인가"에 대한 여부도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1일 7시간 30분 가동한다고 가정했을 때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계산한 결과 가장 많이 배출한 제품은 삼성, 가장 적게 배출한 제품은 쿠쿠 였습니다. 
평균 배출량인 32.2kg보다 높은 제품은 삼성 42kg, 코웨이 37kg가 높았고, 상대적으로 친환경적인 제품은 샤오미 32kg, SK매직 32kg, 위닉스 29kg, LG 29kg, 쿠쿠 24kg 순서 입니다. 

최종 결론


모든 실험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습이다. 실험 결과 6개 항목에서 모두 상대적 우수를 받은 제품은 LG 제품 1 개 뿐입니다. 
그 다음으로 5개 항목에서 상대적 우수를 받은 제품은 삼성(CO2배출량 제외), 코웨이(CO2 배출량 제외), 쿠쿠(표준사용면적 제외)로 3 개 제품이 있습니다.
성능은 모두 우수한 제품이니 나에게 가장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 고려하시어 좋은 제품 선택하시길 바라겠습니다.



LG 퓨리케어 360도 공기청정기 Hit 화이트 AS183HWWA
삼성전자 블루스카이 3100 공기청정기 AX033B310GBD 33.1㎡ 쿠쿠 공기청정기 AC-W70M10FWS 68.9㎡ 코웨이 에어 카트리지 공기청정기 AP-1821F 60㎡, AP-1821F(도브 화이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실험 과정 및 결과 reference 한국소비자원 시험검사국"